Drain Trap의 비교분석
-
FLOAT TYPE
구조적으로 노즐 구경이 작아(0.7Φ) 자주 막히므로 주기적인 분해, 청소가 필요하다.
Float에 이물질이 끼면 노즐이 닫히지 않아 계속적으로 에어손실이 발생된다.
급유식 콤프레샤 일 때 오일의 점성이 Float의 부양력을 떨어뜨린다.
-
TIME CONTOL Solenoid Valv
압축 압력을 솔레노이드 밸브가 직접 받으므로 고장이 많다.
응축수량에 따른 시간 셋팅이 어려워 에어 손실이 크다.
배출시 소음이 심하다.
-
MANUAL VALVE
값비싼 동력으로 만든 압축공기를 응축수 배출을 위해 대기 중에 방출하고 있다.
예) 연간 압축 공기 손실금액은 (1 Point 기준)
사용압력 : 7.0 kgf/cm²
토출구경 : 3Φ(에어 손실량 – 0.6559m³/min)
가동시간 : 24hr/day
압축공기 1m³ : 약 10원 0.6559m³/min×60min/hr×24hr/day
×365day×10원/m³= 3,447,400원
-
DRAIN MASTER
에어손실이 전혀 없어 경제적 효과가 뛰어나 기투자 비용의 회수가 빠르다.
배출구경이 커 막힘 현상이 거의 없고, 비상모드 전환시 자가복원 능력을 가지고 있어 안전하다.
모든 동작이 자동화되어 관리가 쉽다.
사용하는 콤프레샤의 용량에 따라 소용량에서 대용량까지 모델이 다양하다.
콤프레샤 시스템에서 응축수 발생 원인과 해결방안
-
왜? 응축수가 발생하는가
- 응축수는 콤프레샤가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 할 때 유입되는 포화수증기가 압축 공정에서 물이 된다.
- 응축수의 경우 공기중의 먼지, 오염물질, 오일 등으로 심하게 오염되어 있으며, 오일프리 콤프레샤의 경우 산성화 되어 부식성이 강하다.
-
Air Compressor(75kW)System에서 발생되는 연간응축수량
-
-
응축수! 무엇이 문제인가
- 압축공기배관,에어탱크,에어필터등을 부식,
오염시키고, 나아가 제품 생산현장의 고가장비와 제품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된다.
- 겨울철의 경우 응축수가 배관 및 기계장비 내에서 동결되어 소손의 위험에 노출된다.
오토드레인트랩의 필요성
- 응축수의 피해를 막기 위해 기존의 볼 플로트 방식 및 타이머 방식의 트랩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자주 막히거나 고가의 압축공기를 상당량 유출 시킬 수 있는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다.
- DRAIN MASTER 는 응축수 배출에 신뢰성, 사용의 편의성을 갖추고 있어 기존 응축수 배출 시스템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줄 수 있다.
드레인 마스터 동작원리
-
인입라인 1을 통하여 흘러 들어온 응축 수는 하우징 2에 저장되며, 파이로 컨트롤 라인 3을 통해 다이아프램 5 상부 공간이 동압을 이루게 된다.
다이아프램 SEAT 상부가 동압이 되면 스프링압력에 의해 다이아프램이 닫히게 되고 압축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
하우징 2가 만수 되면 수위센서 6 의 상사점에 감지고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이 시작되어 파이로트 공급 라인을 막게 되고, 다이아 프램 상부에 상부에 있던 압축공기가 VENTING 되어 대기압 상태가 된다.
그러면 밸브의 다이아프램 7 은 유입라인의 압력에 의해 들어 올림으로써 응축수는 배출라인 8 을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
-
정전 용량 센서
- 압축공정상의 어떠한 응축수라도 정확히 감지, 배출한다.
압축공기의 손실이 전혀 없다.
- 두개의 센서(상사점, 하사점)의 사용은 응축수만 선별적으로 배출하여 에어로스에 의한 에너지손실을 막아준다.
-
- 자동 배출 기능(비상모드)
- 응축수가 스케일등에 의해 60초동안 배출되지 않을 경우 알람 시그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지 시키며 자동복원 기능으로 전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매 3분마다 5초씩 동작시켜 스케일 배출을 도모한다.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정상모드로 복귀된다.
-
내구성(Hard-Anodizing)
- 비행기, 반도체 장비, 내구성이 요구되는 산업기기에 적용되는 경질피막 처리된 하우징은 내부식성과 내마모성 등의 성질이 매우 우수하여 하우징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다양한 모델, 미려한 디자인
- 응축수의 양에 따라 다양한 모델로 세분화 시켜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혔으며. 다이캐스팅 금형과 애노다이징 공법으로 처리된 하우징은 미려한 디자인을 가진다.
-
-
-
- 전원 연결이 쉬우며, 배관이 편리하도록 3개의 인입라인을 두었다.
- 상하판이 따로 분리되어 하우징 내부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분해 조립이 간편하다.
- 내부에 스트레이너를 내장하여 슬러지에 의한 밸브의 파손, 막힘 현상을 방지 하였다.
자동 온도 조절 장치(Heating Unit)
-
- 에어콤프레샤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응축수 배출 트랩을 결빙지역에 설치하거나, 동절기의 경우 동파의 위험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 온도 조절 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당사의 DRAIN MASTER® Series는 전용 히터를 장착하여 동파로 인한 제품 소손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본 지침서는 DRAIN MASTER® Series 전용 히터의 설치방법과 구성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다음의 내용을 준수하여 설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본 제품의 올바른 기능을 보장 받을 수 없습니다.
– 구성 –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 사용되어 내구성,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내부에 자동 온도 조절기가 삽입되어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준다.
나사산을 이용하여 DRAIN MASTER® Series 인입라인에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편리하다.
DRAIN MASTER® Series 의 모든 모델에 적용 가능하며, 이미 설치된 트랩에도 쉽게 적용 할 수 있다.
※ 동파 방지용
-
Technical Data
Application Temp’ |
-25 ~50℃ |
Power |
110, 220Vac(±10%) 50~60Hz |
Weight |
0.4kg |
Switching Temp’ |
On/+5 ~ Off/+15℃ |
Threaded Connection |
G1/2” |
Power Input |
Pac < 125W |
Material (Heating Cartridge) |
Stainless Steel |
Cable Cross-section |
3 X 0.75㎟ |
(Connecting Cable) |
PVC |
220Vac/125W |
Order ref. : A DM 00-1 |
Operating Pressure(max) |
60 bar |
110Vac/125W |
Order ref. : A DM 00-2 |
설치(INSTALLATION)
-
DM – 5,15,50
- INLET x 2 : 아래쪽에 가스켓을 끼워 설치
DM – 150, 150B, 500, 500B
- INLET x 3 : 아래쪽에 부싱과 가스켓을 차례로끼워 설치
DM – 1500, 1500B
- 히터 전용 라인(1/2”) : 가스켓을 끼워 설치
-
– INFORMATION –
1.설치 지침에 맞게 설치하고 항상 정격 전압이 유지되어야 한다.
2.응축수 인입라인은 보온설비를 해야한다.
3.결빙지역이나 동절기에는 히팅 장치를 항상 가동해야 한다.
4.전기 설치는 자격 있는 기술자가 해야한다.
※ 당사의 트랩전용 히팅장치는 보온설비를 하지 말 것.
-
- 에어손실이 거의 없어 경제적 효과가 뛰어나 기투자 비용의 회수가 빠르다.
- 배출구경이 커(내경 12Ø) 막힘 현상이 거의 없고, 비상모드 전환시 자가복원 능력을 가지고 있어 안전하다.
- 모든 동작이 자동화되어 관리가 쉽다.
압력이 없는 대기압 상태에서도 정상 작동한다.
비상시 수동 조작이 가능하다.(바이패스 배관 불필요)
- 전동 볼 밸브의 재질은 Body:SCS13A, Ball:SUS 304 를 사용하여 내구성이 좋으며, 부식에 강하다.
- 전동볼밸브의 개폐시간이 짧아 작동시 볼 밸브가 완전 개방된다. (스케일 배출에 탁월)
-
-
- 1) 인입 라인 1을 통하여 유입된 응축수는 하우징 2에 모이게 된다.
- 2) 하우징 내부에 응축수 수위가 높아지면 센서 상사점 3에 감지된다.
- 3) 메인보드에서 Open신호를 주면 전동 볼 밸브 5가 가동되고 응축수가 배출라인 6을 통해 배출된다.
- 4) 하우징 내부 응축수 수위가 내려가면 센서 하사점 4에 감지되고 Close신호를 받은 전동볼밸브5가닫히게된다.
-
-
정전 용량 센서
- 압축공정상의 어떠한 응축수라도 정확히 감지, 배출한다.
압축공기의 손실이 전혀 없다.
- 두개의 센서(상사점, 하사점)의 사용은 응축수만 선별적으로 배출하여 에어로스에 의한 에너지손실을 막아준다.
-
- 자동 배출 기능(비상모드)
- 응축수가 스케일등에 의해 60초동안 배출되지 않을 경우 알람 시그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지 시키며 자동복원 기능으로 전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매 3분마다 5초씩 동작시켜 스케일 배출을 도모한다.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정상모드로 복귀된다.
-
내구성(Hard-Anodizing)
- 비행기, 반도체 장비, 내구성이 요구되는 산업기기에 적용되는 경질피막 처리된 하우징은 내부식성과 내마모성 등의 성질이 매우 우수하여 하우징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다양한 모델, 미려한 디자인
- 응축수의 양에 따라 다양한 모델로 세분화 시켜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혔으며. 다이캐스팅 금형과 애노다이징 공법으로 처리된 하우징은 미려한 디자인을 가진다.
-
Stainless Steel 제작
-
-
설치 및 유지 관리의 편리함
- 전원 연결이 쉬우며, 배관이 편리하도록 3개의 인입라인을 두었다.
- 상하판이 따로 분리되어 하우징 내부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분해 조립이 간편하다.
- 내부에 스트레이너를 내장하여 슬러지에 의한 밸브의 파손, 막힘 현상을 방지 하였다.
DRAINMASTER BS
-
스테인리스 스틸 DM-150BS
자동 온도 조절 장치(Heating Unit)
-
- 에어콤프레샤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응축수 배출 트랩을 결빙지역에 설치하거나, 동절기의 경우 동파의 위험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 온도 조절 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당사의 DRAIN MASTER® Series는 전용 히터를 장착하여 동파로 인한 제품 소손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본 지침서는 DRAIN MASTER® Series 전용 히터의 설치방법과 구성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다음의 내용을 준수하여 설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본 제품의 올바른 기능을 보장 받을 수 없습니다.
– 구성 –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 사용되어 내구성,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내부에 자동 온도 조절기가 삽입되어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준다.
나사산을 이용하여 DRAIN MASTER® Series 인입라인에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편리하다.
DRAIN MASTER® Series 의 모든 모델에 적용 가능하며, 이미 설치된 트랩에도 쉽게 적용 할 수 있다.
※ 동파 방지용
-
Technical Data
Application Temp’ |
-25 ~50℃ |
Power |
110, 220Vac(±10%) 50~60Hz |
Weight |
0.4kg |
Switching Temp’ |
On/+5 ~ Off/+15℃ |
Threaded Connection |
G1/2” |
Power Input |
Pac < 125W |
Material (Heating Cartridge) |
Stainless Steel |
Cable Cross-section |
3 X 0.75㎟ |
(Connecting Cable) |
PVC |
220Vac/125W |
Order ref. : A DM 00-1 |
Operating Pressure(max) |
60 bar |
110Vac/125W |
Order ref. : A DM 00-2 |
설치(INSTALLATION)
-
DM – 5,15,50
- INLET x 2 : 아래쪽에 가스켓을 끼워 설치
DM – 150, 150B, 500, 500B
- INLET x 3 : 아래쪽에 부싱과 가스켓을 차례로끼워 설치
DM – 1500, 1500B
- 히터 전용 라인(1/2”) : 가스켓을 끼워 설치
-
– INFORMATION –
1.설치 지침에 맞게 설치하고 항상 정격 전압이 유지되어야 한다.
2.응축수 인입라인은 보온설비를 해야한다.
3.결빙지역이나 동절기에는 히팅 장치를 항상 가동해야 한다.
4.전기 설치는 자격 있는 기술자가 해야한다.
※ 당사의 트랩전용 히팅장치는 보온설비를 하지 말 것.
-
정전 용량 센서
- 압축공정상의 어떠한 응축수라도 정확히 감지, 배출한다.
압축공기의 손실이 전혀 없다.
- 두개의 센서(상사점, 하사점)의 사용은 응축수만 선별적으로 배출하여 에어로스에 의한 에너지손실을 막아준다.
-
-
- 자동 배출 기능(비상모드)
- 응축수가 스케일등에 의해 60초동안 배출되지 않을 경우 알람 시그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인지 시키며 자동복원 기능으로 전환되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매 3분마다 5초씩 동작시켜 스케일 배출을 도모한다.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정상모드로 복귀된다.
-
내구성(Hard-Anodizing)
- 비행기, 반도체 장비, 내구성이 요구되는 산업기기에 적용되는 경질피막 처리된 하우징은 내부식성과 내마모성 등의 성질이 매우 우수하여 하우징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다양한 모델, 미려한 디자인
- 응축수의 양에 따라 다양한 모델로 세분화 시켜 사용자 선택의 폭을 넓혔으며. 다이캐스팅 금형과 애노다이징 공법으로 처리된 하우징은 미려한 디자인을 가진다.
-
-
-
설치 및 유지 관리의 편리함
- 전원 연결이 쉬우며, 배관이 편리하도록 3개의 인입라인을 두었다.
- 상하판이 따로 분리되어 하우징 내부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분해 조립이 간편하다.
자동 온도 조절 장치(Heating Unit)
-
- 에어콤프레샤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응축수 배출 트랩을 결빙지역에 설치하거나, 동절기의 경우 동파의 위험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 온도 조절 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당사의 DRAIN MASTER® Series는 전용 히터를 장착하여 동파로 인한 제품 소손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본 지침서는 DRAIN MASTER® Series 전용 히터의 설치방법과 구성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다음의 내용을 준수하여 설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본 제품의 올바른 기능을 보장 받을 수 없습니다.
– 구성 –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 사용되어 내구성,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내부에 자동 온도 조절기가 삽입되어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준다.
나사산을 이용하여 DRAIN MASTER® Series 인입라인에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편리하다.
DRAIN MASTER® Series 의 모든 모델에 적용 가능하며, 이미 설치된 트랩에도 쉽게 적용 할 수 있다.
※ 동파 방지용
-
Technical Data
Application Temp’ |
-25 ~50℃ |
Power |
110, 220Vac(±10%) 50~60Hz |
Weight |
0.4kg |
Switching Temp’ |
On/+5 ~ Off/+15℃ |
Threaded Connection |
G1/2” |
Power Input |
Pac < 125W |
Material (Heating Cartridge) |
Stainless Steel |
Cable Cross-section |
3 X 0.75㎟ |
(Connecting Cable) |
PVC |
220Vac/125W |
Order ref. : A DM 00-1 |
Operating Pressure(max) |
60 bar |
110Vac/125W |
Order ref. : A DM 00-2 |
설치(INSTALLATION)
-
DM – 5,15,50
- INLET x 2 : 아래쪽에 가스켓을 끼워 설치
DM – 150, 150B, 500, 500B
- INLET x 3 : 아래쪽에 부싱과 가스켓을 차례로끼워 설치
DM – 1500, 1500B
- 히터 전용 라인(1/2”) : 가스켓을 끼워 설치
-
– INFORMATION –
1.설치 지침에 맞게 설치하고 항상 정격 전압이 유지되어야 한다.
2.응축수 인입라인은 보온설비를 해야한다.
3.결빙지역이나 동절기에는 히팅 장치를 항상 가동해야 한다.
4.전기 설치는 자격 있는 기술자가 해야한다.
※ 당사의 트랩전용 히팅장치는 보온설비를 하지 말 것.
-
DRAINMASTER V는 진공상태와 같은 아주 낮은 압력에서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사용된다.
- 사용압력 0.1bar ~ 1.8bar(abs)
* 사용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Sealing이 문제 될 수 있으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DRAINMASTER V의 경우 응축수 배출을 위해 4bar ~8bar 사이의 클린에어 또는 가스가 필요하며, 작동 전환시, 하우징 내부의 콘트롤 에어, 잔여 에어, 가스 등이 진공 시스템으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DRAINMASTER V는 이러한 양의 에어 또는 가스가 기술적, 생산공정, 안전상의 문제(Ex. 폭발 가스 혼합물의 형성)를 발생시키지 않는 시스템에서의 사용되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DRAINMASTER V의 배관 시 응축수 유입 라인과 연결하며, 대량의 응축수가 발생되는 곳에 사용할 경우, 원활한 배출을 위해 반드시 밸런스 에어 라인을 설치하여야 한다.
-
-
-
기능 (Function)
- 하우징 내부의 레벨 센서가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응축수가 센서의 상사점에 도달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려 콘트롤 에어 또는 가스를 공급하여 응축수 유입라인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하우징 내부에 압력을 형성시킨다.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압력은 전동 볼 밸브 작동 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응축수가 완전히 배출 되고 나면, 솔레노이드 밸브가 콘트롤 에어 또는 가스를 차단하고, 다시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설치 (INSTALLATION)
- 응축수 배출에 필요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레귤레이터를 설치해야 하며, 필요압력(4bar ~ 8bar) 범위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만약 4 bar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응축수 배출이 불가능해지며, 압력이 8 bar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밸브가 계속 열린 상태로 있게 되거나, 진공 시스템으로 가는 밸브는 계속 닫힌 상태로 있게 될 수도 있다.
주의! 밸브가 열릴때, 콘트롤 에어가 대기중으로 소량 누출된다.
밸브가 열릴 때, 콘트롤 에어 혹은 가스가 대기중으로 누출된다(약 1 리터). 만일 폭발성 혹은 유해 가스를 콘트롤링 용으로 사용하고 있다면, 이 가스가 유출되는 파이프의 출구는 가스 제거 저장조와 연결시켜야 한다.
DRAINMASTER V Technical Data
Model |
Vacuum Pressure (max) |
Condensate Discharge (max) |
Temperature (min/max) |
DM-150 BV |
0.1~1.8 bar |
50ℓ/hr |
.+1℃ ~ +80℃ |
Model |
Vacuum Pressure (max) |
Condensate Discharge (max) |
Temperature (min/max) |
DM-500BV |
0.1~1.8 bar |
125ℓ/hr |
.+1℃ ~ +80℃ |
Model |
Vacuum Pressure (max) |
Condensate Discharge (max) |
Temperature (min/max) |
DM-1500BV |
0.1~1.8 bar |
180ℓ/hr |
+1 ~ 80℃ |
* 전용 Heater(옵션) 설치 시 -25℃ 까지 가능
자동 온도 조절 장치(Heating Unit)
-
- 에어콤프레샤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응축수 배출 트랩을 결빙지역에 설치하거나, 동절기의 경우 동파의 위험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 온도 조절 장치를 설치 하여야 한다.
당사의 DRAIN MASTER® Series는 전용 히터를 장착하여 동파로 인한 제품 소손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본 지침서는 DRAIN MASTER® Series 전용 히터의 설치방법과 구성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다음의 내용을 준수하여 설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본 제품의 올바른 기능을 보장 받을 수 없습니다.
– 구성 –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이 사용되어 내구성,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내부에 자동 온도 조절기가 삽입되어 일정 온도를 유지하여 준다.
나사산을 이용하여 DRAIN MASTER® Series 인입라인에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편리하다.
DRAIN MASTER® Series 의 모든 모델에 적용 가능하며, 이미 설치된 트랩에도 쉽게 적용 할 수 있다.
※ 동파 방지용
-
Technical Data
Application Temp’ |
-25 ~50℃ |
Power |
110, 220Vac(±10%) 50~60Hz |
Weight |
0.4kg |
Switching Temp’ |
On/+5 ~ Off/+15℃ |
Threaded Connection |
G1/2” |
Power Input |
Pac < 125W |
Material (Heating Cartridge) |
Stainless Steel |
Cable Cross-section |
3 X 0.75㎟ |
(Connecting Cable) |
PVC |
220Vac/125W |
Order ref. : A DM 00-1 |
Operating Pressure(max) |
60 bar |
110Vac/125W |
Order ref. : A DM 00-2 |
설치(INSTALLATION)
-
DM – 5,15,50
- INLET x 2 : 아래쪽에 가스켓을 끼워 설치
DM – 150, 150B, 500, 500B
- INLET x 3 : 아래쪽에 부싱과 가스켓을 차례로끼워 설치
DM – 1500, 1500B
- 히터 전용 라인(1/2”) : 가스켓을 끼워 설치
-
– INFORMATION –
1.설치 지침에 맞게 설치하고 항상 정격 전압이 유지되어야 한다.
2.응축수 인입라인은 보온설비를 해야한다.
3.결빙지역이나 동절기에는 히팅 장치를 항상 가동해야 한다.
4.전기 설치는 자격 있는 기술자가 해야한다.
※ 당사의 트랩전용 히팅장치는 보온설비를 하지 말 것.